추석 뜻, 추석의 유래와 의미 기원 한가위 뜻
추석에 대한 여러가지 의미와 유래가 많지만 추석의 기원은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과 농사와의 밀접한 관련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역사적으론 상제문화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천제天祭는 옛 상고시대에 나라임금이 하느님(상제님)께 올리던 제천행사였습니다.
이를 통해 동서양에선 신교와 신탁을 받아 정치가 이뤄졌었던것입니다.
그래서 인류역사속엔 각민족마다 건국신화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신과 인간 , 그리고 그 중간계에서 일어난 설화,신화가 있었던것이죠.
신화는 단순히 신의 이야기가 아닌 지혜와 신성을 가진 인간이 순수한 광명의 무(巫) 화이트샤만으로 하늘땅의 청명한 기운과 신령스런 정신이 충만했던 시대의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그 시절엔 거기에 걸맞는 역사시대이야기가 있어왔습니다. 지금은 정신으론 가늠하기 힘들기에 신화라하면 역사와 동떨어진 상징적인 차원에서만 생각할 뿐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신화 역사가 정치적으론 조작 왜곡되고 의도적으로 덧붙여져 더욱이 알기 어렵게 되어버린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환단고기중 삼성기,북부여기, 단군세기를 보면 정말로 놀랍게도 엄연히 존재했던 역사이야기임을 알수 있습니다.
우리민족이 세시풍속에서 10월에 행해졌던 상달 고사는 고대 동이계국가들의 제천의식이 민간신앙과 합쳐져서 가정의제사의례로 변모하였습니다. 우리민족은 10월을 상달이라하여 으뜸달로 치며 제천의식을 행하였는데 삼한의 시월제, 고구려의동맹, 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 ,고려의팔관회들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최근에는 동예의 무천 행사가 단군조선의 원래 풍속이었음이 밝혀졌습니다.
추석은 후일에 와서 신교神敎의 맥이 상실되어 상제문화가 단절이 되었지만 가을의 추수후 보름날 저녁에 보는 환한달 추석秋夕이라는 명절이 생겼을 것입니다. 고대에는 가정마다 상제님과 조상님께 산신 기지신에게도 제사를 올리게 된것이 후일에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만 올린것을 알수 있습니다.
추석이라는 말은 중국 고대의 유가(儒家)의 경전인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것이라는 설과, 중국에서 중추(仲秋), 추중, 칠석, 월석등의 말이 사용되었는데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한 천자가 가을저녁에 올리던 천제天祭로서의 의미가 있는데 우리민족이 천자국이었기에 본래 한민족의 고유명절이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최근 "추석(秋夕)"보다 옛 가베를 일러 "한가위"라고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의사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 편지 아들의 독립운동과 친일행적 (0) | 2022.09.14 |
---|---|
안중근 의사 이토히로부미 저격 유언 유해 동양평화론 명언 안응칠 역사 (0) | 2022.09.14 |
한고조 유방과 서초패왕 항우, 책사 장량 한신과 소하 (0) | 2022.08.13 |
삼족오 의미 고구려 상징 일본 속 우리 삼신 역사 문화 (0) | 2022.08.03 |
임나일본부설과 광개토대왕릉비, 환단고기 대마도 한국땅 근거 (0) | 2022.08.03 |
댓글